분류 전체보기 540 작업계획서 - 전기작업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에 따라 전기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계획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함* 전기작업: 안전보건규칙 제318조에 따른 전기작업을 말하며, 해당 전압이 50볼트를 넘거나 전기에너지가 250볼트암페어를 넘는 경우로 한정 2025. 1. 14. [법 제34조]산업안전보건법령요지 게시(건설현장용) 산업안전보건법 제34조(법령 요지 등의 게시 등)에 따라 사업주는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의 요지 및 안전보건관리규정을 각 사업장의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갖추어 두어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함산업안전보건법령 요지를 게시하지 않을 경우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음(1차 위반: 50만원, 2차 위반: 250만원, 3차 이상 위반: 500만원) 2025. 1. 14. [법 제34조]산업안전보건법령요지 게시(1) 산업안전보건법 제34조(법령 요지 등의 게시 등)에 따라 사업주는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의 요지 및 안전보건관리규정을 각 사업장의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갖추어 두어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함산업안전보건법령 요지를 게시하지 않은 경우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음(1차 위반: 50만원, 2차 위반: 250만원, 3차 위반 이상: 500만원) 2025. 1. 14. 2024년 9월말 산업재해현황 2025. 1. 9. 2023 산업재해현황분석 2025. 1. 9. 안전·보건관리전문기관 및 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관리규정 2025. 1. 9. 위험성평가 근로자 참여 가이드 2025. 1. 9. 통로 내 케이블트레이 안전조치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장 내 이동시 바닥면에 구조물이나 물건이 놓여져 있을 경우충돌 또는 걸려 넘어질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바닥면에 케이블트레이가 위치하고 있어 넘어짐 재해의 기인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안전보건규칙에 따르면 통로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에는 장애물이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해당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조치를 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케이블트레이와 같은 고정형 구조물은 물리적으로 제거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따라서 통행 시 구조물이 위치하고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라인표시 및 주의표지 설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위험에 대한 방호의 원리 측.. 2025. 1. 7. 2023 새로운 위험성평가 안내서 2025. 1. 7. 학교 내 근로자 재해예방(시설관리) 2025. 1. 6. 중량물 취급 안전수칙 2024. 12. 20. 안전보건교육기관 사칭 주의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실시하여야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의무사항으로,사업장 자체적으로 실시하거나, 안전보건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할 수 있습니다. 안전보건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할 경우 고용노동부에 등록된 기관에서 실시하여야 안전보건교육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등록된 기관이 아닌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할 경우 인정되지 않습니다. "교육미이수시 과태료 부과", "무료교육" 등등 안내문구로 홍보한다면 안전보건교육의 목적이 아니라, 카드, 보험 컨설팅(판매)가 주목적임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2024. 12. 9. 건설분야 주요용어 ◈ 가설울타리 공사장 내·외 부지의 경계에 설치하는 울타리 ◈ 터파기 구조물을 구축할 부지(터)를 파내는 작업 ◈ 흙막이 가시설 지반을 굴착할 때, 굴착면 및 지반이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면에 설치하는 가설물로, 흙막이 가시설의 종류는 공법에 따라 다양함 ◈ 말뚝(pile)상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하여 지표면 하부에 설치되는 봉 형태의 부재 ◈ 기초바닥 구조물의 바닥으로 단단한 지반 위 또는 기초말뚝 위에 설치하는 바닥 슬래브 ◈ 거푸집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에 맞게 만들기 위해 설치 하는 형틀 ◈ 동바리거푸집에 상재되는 철근 및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거푸집 측면 및 하부에 받치는 기둥형태의 지지재 ◈ 갱폼(Gang Form) 아파.. 2024. 12. 9. 2025년 적용 최저임금 고시 최저임금은 「최저임금법」 제11조에 따라,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그 외의 적당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합니다.따라서, 휴게실, 식당 게시판 등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최저임금 고시를 게시하시기 바랍니다.게시하지 않을 경우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법 제11조(주지 의무)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사용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최저임금을 그 사업의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그 외의 적당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 최저임금법 시행령 [별표] 과태료의 부과기준 위반행위근거 법조문과태료 금액가. 법 제11조를 위반하여 근로자에게 해당 최저임금을 같은 조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널리 알리지 않.. 2024. 12. 9. 2025년 적용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단위 : 원년도2024년 [적용 2025년]기술등급기계·설비전기정보통신건설환경원자력기타기술사470,112451,475450,075452,718451,020555,998433,045특급기술자391,791350,252330,713358,273347,410451,676346,423고급기술자327,056300,034301,470300,980311,177377,211297,079중급기술자281,925283,992272,298284,046260,926360,023246,345초급기술자247,713238,294234,973223,644234,568284,926219,507고급숙련기술자290,015289,668253,886267,012258,712345,896273,830중급숙련기술자223,521237,151219,8.. 2024. 12. 9. 성희롱 예방 교육 ➊ 교육횟수 및 시간(법 제13조제1항, 시행령 제3조제1항) 매년 1.1.부터 12.31.까지 1회 이상 실시 교육시간은 최소 1시간 이상 ➋ 교육대상(법 제13조제2항) 사업주 및 모든 근로자 - 정규직 뿐 아니라 기간제, 단시간, 아르바이트 근로자도 해당되며, 파견근로자도 사용사업주가 의무교육 사업주임 - 출장, 휴가 등으로 인해 교육에 불참한 근로자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 교육을 실시 해야 한다. ➌ 교육방법 원칙적으로 대면교육으로 실시 인터넷을 통한 교육의 경우 구성단위별 진도 체크, 교육 내용에 대한 테스트(확인), 궁금증에 대한 질의·응답 등 피교육자에게 교육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해야 한다. ➍ 교육 내용 직장 내 성희롱 관련 법령 직장 내 성희롱 발생 .. 2024. 3. 13. 2024년 적용 최저임금 고시 2024. 3. 13. 산업용리프트 안전검사 2024. 1. 30.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 번호기계·기구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1프레스o 동력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및 전단기로서 압력능력이 3톤 이상은 적용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는 제외가. 열간 단조프레스, 단조용 해머, 목재 등의 접착을 위한 압착프레스, 톰슨프레스(Tomson Press), 씨링기, 분말압축 성형기, 압출기 및 절곡기, 고무 및 모래 등의 가압성형기, 자동터릿펀칭프레스, 다목적 작업을 위한 가공기(Ironworker), 다이스포팅프레스, 교정용 프레스 나. 스트로크가 6밀리미터 이하로서 위험한계 내에 신체의 일부가 들어갈 수 없는 구조의 프레스 및 전단기 다. 원형 회전날에 의한 회전 전단기, 니블러, 코일 슬리터, 형강 및 봉강 전용의 전단기 및 노칭기2전단기3크레인o 동력으로 구동되는 것으로서 정.. 2024. 1. 30. 2024년 적용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 엔지니어링기술부문 구분 기술부문(전문분야) 기계·설비 기계부문(일반산업기계, 차량, 용접, 금형), 설비부문(설비) 전 기 전기부문(전기설비, 전기전자응용) 정보통신 정보통신부문(정보통신, 정보관리, 철도신호) 건 설 건설부문(도로·공항, 항만·해안, 철도, 교통, 농어업토목, 도시계획, 조경, 구조,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토질·지질, 측량·지적, 품질시험) 환 경 환경부문(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자연·토양환경) 원 자 력 원자력부문(원자력·방사선관리, 비파괴검사) 기 타 선박부문(조선), 항공우주부문(항공), 금속부문(금속), 화학부문(화공), 광업부문(자원관리, 광해방지), 농림(농림, 시설원예), 해양·수산(해양), 산업부문(생산관리, 포장·제품디자인, 산업안전, 소방·.. 2024. 1. 17. 작업장 내 소화기 비치 및 위치표지 설치 작업장 내 화재발생 시 신속한 초기대응을 위하여 소화기를 다음의 규정에 따라 비치하여야 한다.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1) 제4조(설치기준) ① 소화기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4. 소화기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가.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층마다 설치하되, 각 층이 둘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면적이 33 제곱미터 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에도 배치할 것 또한, 소화기를 비치한 장소에 위치표지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소화기의 위치이동이 이루질 가능성이 있으며, 유사시 신속한 초기대응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다음의 규정에 따라 소화기 비치장소에 축광식 위치표지를 부착하여야 한다. 소화기구.. 2024. 1. 17. 특별고압이 흐르는 충전부에 의한 전기화상 2024. 1. 16. 수·변전설비 울타리 접지 수·변전설비란? 수용가(공장, 집, 사무실 등)에서 전력을 활용하려면 전력회사에서 고압으로 송전한 전력을 수전하여 실제 필요한 전압(220, 380V)으로 변전하고 각 부하 시설로 배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전과 배전을 위한 전기 장치와 기기를 수·변전 설비라고 한다. 통상 수전 지점에서 변압기 1차 측까지의 기기를 수전 설비라 하고, 변압기에서 전력 부하의 배전반까지를 변전설비라고 한다. 수· 변전시설은 전격에 의한 감전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이 있어, 충전부 방호, 접지시공, 관계자외 출입금지 등의 다양한 안전조치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울타리는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실시하여야 하는데,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규정하는 울타리(금속제 칸막이)접지의.. 2024. 1. 16. 화학물질 유해·위험성 2024. 1. 16. 화학물질 취급용기(소분용기)경고표지 작성 ▣ 소분용기 경고표지 양식 및 규격 1. 경고표지 예시 및 기재사항 가. 일반용기 - (기재사항) 제품명,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공급자정보 나. 소량용기(용량 100g 또는 100mL이하) - (기재사항) 제품명, 그림문자, 신호어, 공급자정보 2. 경고표지 규격 용기 또는 포장의 용량 인쇄 또는 표찰의 규격 용량 ≥ 500ℓ 450 ㎤ 이상 200ℓ ≤ 용량<500 ℓ 300 ㎤ 이상 50ℓ ≤ 용량<200 ℓ 180 ㎤ 이상 5ℓ ≤ 용량<50 ℓ 90 ㎤ 이상 용량< 5 ℓ 용기 또는 포장의 상하면적을 제외한 전체 표면적의 5% 이상 2024. 1. 2. 세척작업 3대 핵심 안전보건 조치사항 2024. 1. 2. 세척제 트리클로로메탄 급성중독 발생경보 2024. 1. 2. 재해사례-이동식비계 승강 중 떨어짐 ◈ 재해개요 2018.9.7(금) 경기 시흥시 은행동 소재 ○○건설(주)에서 시공하는 아파트 건설공사 현장에서 ○○○○ 소속 작업자(미장공)가 사회복지관 지상 4층 내부 벽체의 모서리 비드 설치를 위해 이동식비계에 오르던 중 약 1.0m 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한 재해임 ◈ 재해발생원인 ● 이동식비계 아웃트리거 미설치 상태에서 작업 실시 - 이동식비계의 갑작스러운 이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웃트리거(outrigger)를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하나 아웃트리거 등 미설치로 인해 이동식비계가 움직임 ● 보호구 미지급,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실시 -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의 경우 근로자에게 안전모를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관리감독 하여야 하나 미지급 및 미착용 상태로 작업 중 추락 .. 2024. 1. 2. 안전관리분야 자격증 직무분야중직무분야기술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기능사25안전관리 251안전관리(27)가스가스가스가스가스건설안전 건설안전건설안전 기계안전 산업안전산업안전 산업위생관리 산업위생관리산업위생관리 소방 소방설비(기계분야)소방설비(기계분야) 소방설비(전기분야)소방설비(전기분야) 인간공학 인간공학 전기안전 화공안전 화재감식평가화재감식평가 농작업안전보건 방재 2023. 5. 12. 대형마트 공정별 유해위험요인 2023. 4. 20. 이전 1 2 3 4 5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