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반응형
550

괴롭힘 인지 감수성 향상 괴롭힘 인지 감수성 이렇게 Up! 직장에서 말과 행동 직원에게 "야, 너, 아가씨, 인턴아" 보다는 존칭을! 반말, 친하지 않음 때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직원들 앞에서 질책은 자제해 주세요. 업무와 무관한 모욕적 표현 No! 관찰의 포인트: 내 말과 행동이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화가 나더라고 언성을 높이거나, 서류를 던지면 상대방은 상처받을 수 있습니다. 말은 기록이 없지만, 기억은 남습니다. 직장에서 업무수행 업무 관련 정보 공유: 누군가를 제외할 필요가 없다면 모두에게! 휴식시간, 점심시간, 퇴근 후, 휴일 업무연락은 자제해 주세요. .. 2025. 9. 5.
중대재해 발생 주요 작업·유형별 맞춤형 안전 가이드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을 위한) 중대재해 발생 주요 작업·유형별 맞춤형 안전 가이드1 고소작업2 청소 등 미화작업3 재난복구 등 중장비작업4 밀폐장소 작업5 벌목작업 2025. 9. 5.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 주요 안전보건자료 2025. 9. 4.
안전인증업무 처리규칙 2025. 9. 3.
[법제84조] 안정인증 상호인정협정 체결 현황 해외 인증기관 상호협력 현황연번기관명국적체결기간체결분야1Nemko노르웨이'94.05.24. ~ 계속KCs(방폭)2AMTRI Veritas영국'97.05.12. ~ '26.11.29.S마크3TÜV Rheinland독일'97.09.19. ~ '27.09.12.KCs(방호장치·보호구 포함), S마크4PTB독일'02.05.13. ~ '26.11.29.KCs(방폭)5SGS스위스'02.12.04. ~ '26.11.29.KCs(방호장치·보호구 포함), S마크6TIIS일본'03.09.23. ~ '26.11.29.KCs(방폭장비)7SITI/IAS/NEPSI중국'04.02.05. ~ 계속KCs(방폭)8NANIO "CCVE"러시아'06.06.08. ~ 계속KCs(방폭)9TestSafe호주'07.04.26. ~ 계속KCs(방.. 2025. 9. 3.
[OPS]예비산업인력을 위한 현장실습 필수 안전수칙10 더보기산업안전보건법 제166조의2(현장실습생에 대한 특례) 제2조제3호에도 불구하고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제2조제7호에 따른 현장실습을 받기 위하여 현장실습산업체의 장과 현장실습계약을 체결한 직업교육훈련생(이하 “현장실습생”이라 한다)에게는 제5조, 제29조, 제38조부터 제41조까지, 제51조부터 제57조까지, 제63조, 제114조제3항, 제131조, 제138조제1항, 제140조, 제155조부터 제157조까지를 준용한다. 이 경우 “사업주”는 “현장실습산업체의 장”으로, “근로”는 “현장실습”으로, “근로자”는 “현장실습생”으로 본다. 2025. 9. 1.
[법제84조]안전인증서 2025. 9. 1.
[법제89조] 자율안전확인 신고증명서 2025. 9. 1.
적층식 랙(Rack) 설치기준 [참고] 2025. 9. 1.
사다리 및 말비계 구분 2025. 9. 1.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PDF 2025. 8. 1.
암모니아가스 취급안전 2025. 5. 28.
휴대용연삭기 안전작업 2025. 5. 28.
고압가스용기 2025. 5. 28.
공기의 조성 (Atmospheric Composition) 지구 대기의 공기는 여러 기체로 이루어진 혼합 기체입니다. 일반적으로 해수면 기준의 건조 공기(Dry Air)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체몰질량vol%(부피의 백분율)(volume percentage)wt%(중량 백분율)(weight percentage)비고Nitrogen(질소)N228.0178.08475.511가장 풍부한 성분Oxygen(산소)O232.0020.94623.14생명 유지에 필수Argon(아르곤)Ar39.950.9341.29비활성 기체Carbon dioxide(이산화탄소)CO244.010.04120.063농도는 점차 증가 추세Neon(네온)Ne20.180.0018180.0013희귀 기체Helium(헬륨)He4.000.0005240.00007가볍고 비활성Methan.. 2025. 5. 26.
MSDS 경고표지의 이해 2025. 4. 25.
신설된 A형 사다리 안전기준 OPL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2조(추락의 방지)④ 사업주는 제1항 및 제2항에도 불구하고 작업발판 및 추락방호망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근로자로 하여금 3개 이상의 버팀대를 가지고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도록 조치해야 한다. 1. 평탄하고 견고하며 미끄럽지 않은 바닥에 이동식 사다리를 설치할 것 2. 이동식 사다리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조치를 할 것 가. 이동식 사다리를 견고한 시설물에 연결하여 고정할 것 나. 아웃트리거(outrigger, 전도방지용 지지대)를 설치하거나 아웃트리거가 붙어있는 이동식 사다리를 .. 2025. 4. 25.
(법 제52조)근로자 작업중지권 산업안전보건법 제52조에 따라 근로자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한 근로자는 지체 없이 그 사실을 관리감독자 또는 그 밖에 부서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보고를 받은 관리감독자 등은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다고 근로자가 믿을 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을 때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한 근로자에 대하여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2025. 3. 25.
육아휴직 계산기 육아휴직 사용기간 및 잔여기간 계산기입니다.분할사용 회차별 사용기간을 합산하여 총 사용기간을 확인할 수 있고,잔여기간에 대한 예상 종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 3. 19.
`25년 성희롱 예방교육 [자체교육용] 사업장에서 직장내 성희롱 예방교육을 외부 전문 강사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활용(참고)할 수 있는 자료 입니다.      https://youtu.be/XBV1jmygqVs 2025. 3. 19.
표준취업규칙 (2025년 배포) 근로기준법 제93조에 따라 상시 1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취업규칙을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 (변경하는 경우 동일)1. 업무의 시작과 종료 시각, 휴게시간, 휴일, 휴가 및 교대 근로에 관한 사항2. 임금의 결정ㆍ계산ㆍ지급 방법, 임금의 산정기간ㆍ지급시기 및 승급(昇給)에 관한 사항3. 가족수당의 계산ㆍ지급 방법에 관한 사항4. 퇴직에 관한 사항5.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에 따라 설정된 퇴직급여, 상여 및 최저임금에 관한 사항6. 근로자의 식비, 작업 용품 등의 부담에 관한 사항7. 근로자를 위한 교육시설에 관한 사항8. 출산전후휴가ㆍ육아휴직 등 근로자의 모성 보호 및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사항9. 안전과 보건에 관한 사항9의.. 2025. 3. 19.
표준 근로계약서 (2025년 배포) 사업장에서 활용·참고할 수 있는 "표준 근로계약서" 입니다.개정된 법령 등을 반영하여 고용노동부에서 2025년에 배포한 표준 근로계약서 입니다. 2025. 3. 19.
휴게시설 설치ㆍ관리기준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1의2] 신설 2022. 8. 18.> 휴게시설 설치ㆍ관리기준(제194조의2 관련)  1. 크기 가. 휴게시설의 최소 바닥면적은 6제곱미터로 한다. 다만, 둘 이상의 사업장의 근로자가 공동으로 같은 휴게시설(이     하 이 표에서 “공동휴게시설”이라 한다)을 사용하게 하는 경우 공동휴게시설의 바닥면적은 6제곱미터에 사업장     의 개수를 곱한 면적 이상으로 한다. 나. 휴게시설의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는 2.1미터 이상으로 한다. 다. 가목 본문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휴식 주기, 이용자 성별, 동시 사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최소면적을 근로자대     표와 협의하여 6제곱미터가 넘는 면적으로 정한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와 협의한 면적을 최소 바닥면적으로 한다. 라. 가목.. 2025. 3. 18.
공동주택을 위한 휴게시설 설치·관리 가이드북 산업안전보건법 제128조의2(휴게시설의 설치)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갖추어야 합니다.이 경우 법령에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휴게시설을 갖추는 경우 크기, 위치, 온도, 조명 등 휴게시설 설치ㆍ관리기준을 준수하여야 합니다.위반행위근거 법조문세부내용과태료 금액(만원)1차 위반2차 위반3차 이상위반법 제128조의2제1항을 위반하여 휴게시설을 갖추지 않은 경우(이 영 제96조의2에 따른 사업장의 사업주로 한정한다)법 제175조제3항제2호의31,5001,5001,500법 제128조의2제2항을 위반하여 휴게시설의 설치ㆍ관리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법 제175조제4항제6호의2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휴게시설 .. 2025. 3. 18.
2025년도 사업종류별 산재보험료율 및 사업종류 예시 2025년도 "사업종류별 산재보험료율”과 “통상적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재해에 관한 :산재보험료율 시행일: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유효기간: 2025년 12월 31일까지 효력을 가짐 2025. 3. 18.
작업전 5분 스트레칭 2025. 3. 17.
제11차 개정 한국표준산업분류 대-중-소-세-세세 구분 2025. 3. 17.
올바른 자세로 VDT증후군 예방 2025. 3. 5.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운영 매뉴얼 2025. 2. 5.
현장에서 지켜야 할 핵심 안전수칙 2025.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