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규정
고용노동부고시 제2022-47호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장애인에 대한 직장 내 편견을 제거함으로써 장애인 근로자의 안정적인 근무여건을 조성하고 장애인 근로자 채용이 확대 되도록「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하 “법”이라 한다)」제5조의2, 제5조의3, 제82조, 제86조, 같은 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 제82조, 제8“, 제83조,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4조의2, 제4조의3, 제4조의4, 제4조의5에 따른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이하 ”인식개선”이라 한다)이란 직장 내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 및 편..
2022. 6. 27.
2022년도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작성일: 2022년 1월 6일 ○ 엔지니어링활동의 정의 1. “엔지니어링활동”이란 과학기술의 지식을 응용하여 수행하는 사업이나 시설물에 관한 다음 각 목의 활동을 말한다. 가. 연구, 기획, 타당성 조사, 설계, 분석, 계약, 구매, 조달, 시험, 감리, 시험운전, 평가, 검사, 안전성 검토, 관리, 매뉴얼 작성, 자문, 지도, 유지 또는 보수 나. 가목의 활동에 대한 사업관리 다. 가목 및 나목에 준하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활동 2. “엔지니어링산업”이란 엔지니어링활동을 통하여 경제적 또는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말한다. 3. “엔지니어링사업”이란 엔지니어링활동을 수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4. “엔지니어링사업자”란 엔지니어링활동을 영업의 수단으로 하려는 자로서 제21조에 따라 산업..
2022. 1. 6.
2021년 적용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
2021년 적용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 2020/09/16 - [Other] - 엔지니어링기술자의 기술등급 및 자격기준 엔지니어링기술자의 기술등급 및 자격기준 가. 기술계 엔지니어링기술자 기술등급 국가기술자격자 학력자 기술사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술사자격을 가진 사람 - 특급기술자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사자격을 가진 사람으로서 해당 mis0409.tistory.com 엔지니어링기술구분 ▶ 기계/설비 - 일반산업기계, 차량, 용접, 금형, 설비 ▶ 전기 - 전기설비, 전기전자응용 ▶ 정보통신 - 정보통신, 정보관리, 철도신호 ▶ 건설 - 도로·공항, 항만·해안, 철도, 교통, 농어업토목, 도시계획, 조경, 구조,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토질·지질, 측량·지적, 품질시험 ▶ 환경 - 대기관리, ..
2020.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