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무상식 바이블 반응형 37 배우자 출산휴가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시행 1.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이 기존 3~5일(최초 3일 유급)에서 유급 10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휴가 청구기한은 출산한 날부터 30일에서 90일로 늘어났습니다. 90일 내에서 1회에 한해 분할 사용도 가능해져 출산 가정은 상황에 맞게 출산휴가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 ▶ 유급 휴가기간 확대로 부담이 될 수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우선지원 대상기업 노동자를 대상으로 정부가 유급 5일분을 지원하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가 신설됩니다. 출산휴가 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출산휴가 종료일 이전에 피보험단위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하며, 휴가를 시작한 날로부터 1개월 이후, 휴가가 끝나고 12개월 이내의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또한, 배우.. 2019. 11. 13. 직장 내 성희롱 예방대응 매뉴얼 직장 내 성희롱 예방대응 매뉴얼 2019. 11. 6. 재량근로시간제 운영 가이드 재량근로시간제 운영 가이드(19.07.31.) 2019. 11. 6. 유연근로시간제 교육자료(1910) 유연근로시간제 교육자료(1910) 2019. 11. 6.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시행지침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시행지침 2019.09. 고용노동부 Contents Ⅰ.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및 급여 도입 배경 Ⅱ. 배우자 출산휴가 시행지침 Ⅲ.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시행지침 1. 개요 2.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도입 세부 내용 (1) 지급요건 (2) 지급대상 및 기간 (3) 지급금액 산정 (4) 급여의 신청 (5) 수급권 대위 (6) 급여의 지급 (7) 그 외 준용규정 [참고]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 Q&A [서식]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관련 서식 출처 : 고용노동부 2019. 11. 6.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2018년 5월 29일부터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이 법정 의무 교육으로 강화되었습니다. 1. 관련법령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5조의2(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동법 제86조(과태료)에 따라, -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사업주이거나 - 교육 실시 관련 자료를 3년간 보관하지 아니한 사업주 및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기관의 장에게는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 교육 대상 및 횟수 - 모든 사업주 및 근로자는 연 1회, 1시간 이상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3. 교육 방법 - 사업주는 고용노동부장관이 배포한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직접 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 또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기관)에 위탁하여 교육을 할 .. 2019. 11. 6. [일반국민편] 청탁금지법 금지사례 10가지 국민권익위원회 청탁금지법 10가지 금지사례(일반국민편) 홍보자료 2019. 11. 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