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전보건자료
반응형
204

반도체 사업장 현장실습생을 위한 건강관리 길잡이 2023. 4. 17.
반도체 사업장 현장실습생을 위한 건강관리 길잡이 2023. 4. 17.
건축물 철거해체공사 사고사례 및 예방대책 2023. 4. 17.
[건설업분야] 3대사고유형 8대위험요인 2023. 4. 17.
화학물질 안전보건관리 10계명 2023. 1. 18.
굴착기 안전수칙 2023. 1. 18.
직장 내 괴롭힘 대응 매뉴얼 2023. 1. 18.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소화용기 안전조치 2023. 1. 18.
크레인 탑승설비 2023. 1. 18.
세안설비 등의 성능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세안설비 등의 성능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물질로부터 신체 접촉 시 신속히 씻어내기 위한 긴급샤워기, 세안 및 세면설비의 성능 및 설치기준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2.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세안설비 등”이라 함은 긴급샤워기 및 세안설비 등을 말한다. (나) “긴급샤워기(Emergency shower)”라 함은 긴급시 몸전체를 세척하는 목적으로 특별히 설계·설치된 샤워꼭지와 샤워꼭지에 세척용수를 공급하는 조작밸브로 구성된 설비를 말한다. (다) “세안설비(Eye shower)”라 함은 눈을 세척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2) 기타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이 지침에 특별한 규.. 2023. 1. 2.
[OPL] 감김·끼임 재해예방 2023. 1. 2.
[교안]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소화용기 안전조치 2022. 12. 28.
[교안] 건설업 가설전기 공정별 유해위험요인 2022. 12. 28.
[교안] 벌목작업 안전수칙 2022. 12. 28.
[교안]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 인화성 액체의 안전한 사용 및 취급 2022. 12. 28.
[교안]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 절단 수공구 작업 2022. 12. 28.
[교안]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조경작업- 2022. 12. 28.
위험물 운반용기 차량 적재 및 고정 매뉴얼 Ⅰ. 목적 1. 위험물 운반용기의 차량 적재 및 고정방법에 대한 규정을 마련함으로써 위험물 운반자의 이해를 도와 위험물 운반 시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2. 위험물 운반용기의 적절한 적재, 고정방법 및 안전 체크리스트 등을 보급하여 적재 및 고정 시 관련 기술기준 준수의 계도함을 목적으로함 Ⅱ. 위험물 운반용기 적재 시 준수사항 1. 위험물 운반용기(이하 “운반용기”라 한다)는 운반도중 전도․낙하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예를 들면, 래싱, 슬라이딩 슬랫보드, 조절 가능한 브라켓)으로 결박한다. 운반용기가 비(非) 위험물(예를 들면, 무거운 기계류나 클레이트(crate))과 함께 운반될 때는 느슨해짐을 방지 하기 위하여 운반용기를 차량에 단단하게 결박하여 적재한다. 다 만, 운반용기의 변형이나 .. 2022. 7. 25.
기계 및 설비의 통로설치안전 1.기계 및 설비의 통로설치 1-1 사다리(LADDERS) 75°에서부터 90°까지의 경사각을 갖는, 높이가 다른 두 지점간을 연결하여 통로를 만들기 위해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하중을 지탱하는 수평 요소는 봉상의 가로대로 구성된 것이다. 1-2 발판사다리(STEPLADDERS) 46°에서부터 74°까지의 경사각을 갖는 두 지점간을 연결하여 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평요소는 판상의 발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1-3 계단(STAIRWAYS) 24°에서부터 45°까지의 경사각을 갖는 두 지점간을 연결하는 통로로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수평요소는 판상이나 평면상의 발판으로 된 것이다. 1-4 경사로(RAMPS) 0°에서 10°사이의 경사각을 갖는 두 지점간에 설치되는 통로로서 별도의 수평요소가 없이 평탄한 .. 2022. 7. 14.
염산 취급시설 안전관리 2022. 6. 29.
가연성 재재 등의 보관 가이드라인 CONTENTS 목적 건설현장 화재폭발사고 발생 현황 건설현장 자재보관 실태 화재 발생 매커니즘 건설현장 가연성 자재 보관 및 취급관리 가이드 건설현장 화재·폭발 관련 주요 법규 주요 화재·폭발 사고 사례 2022. 6. 28.
실내건축공사 안전작업절차서 Contents Ⅰ 공사 시 안전조치 사항 실내건축공사 개요 재해동향 실내건축공사 안전대책 실내건축공사 중대재해 사례 Ⅱ 법적 준수사항 2022. 6. 28.
안전한 보호구 착용 길라잡이 - 보안경 2022. 4. 6.
안전한 보호구 착용 길라집이 - 안전화 2022. 4. 6.
밀폐공간작업 프로그램 2022. 3. 31.
밀폐공간 안전보건규칙 조항별 확인·착안사항 법 조항 및 점검항목 확인·착안사항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시행 (안전보건규칙 제619조) 1.사업장 내 밀폐공간 보유 여부 확인 * 안전보건규칙 별표 18 해당여부 확인 2.밀폐공간 내 작업이 있는 경우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작성 여부 확인 * 사업장 내 밀폐공간의 위치 파악 및 관리방안, 밀폐공간 내 질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의 파악 및 관리 방안, 밀폐공간 작업 시 사전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확인 절차, 안전보건교육 및 훈련, 그 밖에 밀폐공간 작업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사항 3.밀폐공간 작업 시작 전 확인한 조치사항의 출입구 게시 여부 확인 * 작업정보, 작업자 정보, 산소·유해가스 농도 측정결과, 불활성 또는 유해가스 누출·유입·발생 가능성 검토, .. 2022. 3. 31.
건설현장 비계작업안전 실무 안내서(2) CONTENTS 03. 비계작업 검토사항과 설계기준 및 안전인증 비계작업 검토·확인사항 비계 설계기준 비계 및 안전가시설의 안전인증 2022. 3. 31.
건설현장 비계작업안전 실무 안내서(1) CONTENTS 01. 비계작업의 개요 비계 개요 비계작업의 위험요인과 안전요건 비계작업 사망재해 현황 02. 비계의 종류와 용어 비계의 종류 비계관련 용어 비계 종류별 개요 2022. 3. 31.
물류시설 내 지게차 안전관리 지침서 CONTENTS Ⅰ. 지게차 안전교육의 필요성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사업주의 법적 의무사항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 Ⅱ. 지게차 안전작업 매뉴얼 작업계획서 작성 지게차 안전점검 실시 작업장 내 모든 작업자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 작업지휘자는 작업계획에 따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을 지휘 지게차 작업장소에서의 안전한 운행경로 확보 지게차 운전자 안전수칙 및 안정도 준수 주차 시 안전수칙 및 사후점검 실시 Ⅲ. 지게차 작업형태별 안전수칙 작업 전 점검사항 주행 시 안전수칙 적재작업 시 안전수칙 운반 시 안전수칙 하역작업 시 안전수칙 주차 및 작업종료 후 안전수칙 Ⅳ. 사고유형별 예방대책 사고유형별 재해현황 사고유형별 재해사례 및 예방지침 사고발생시 대응절차 Ⅴ. 지게차 안전관련법령 건설기계관리법 산업안전.. 2022. 3. 31.
소화설비 작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질식재해 예방 안전작업 매뉴얼 2022.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