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목적
1. 위험물 운반용기의 차량 적재 및 고정방법에 대한 규정을 마련함으로써 위험물 운반자의 이해를 도와 위험물 운반 시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2. 위험물 운반용기의 적절한 적재, 고정방법 및 안전 체크리스트 등을 보급하여 적재 및 고정 시 관련 기술기준 준수의 계도함을 목적으로함
Ⅱ. 위험물 운반용기 적재 시 준수사항
1. 위험물 운반용기(이하 “운반용기”라 한다)는 운반도중 전도․낙하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예를 들면, 래싱, 슬라이딩 슬랫보드, 조절 가능한 브라켓)으로 결박한다. 운반용기가 비(非) 위험물(예를 들면, 무거운 기계류나 클레이트(crate))과 함께 운반될 때는 느슨해짐을 방지 하기 위하여 운반용기를 차량에 단단하게 결박하여 적재한다. 다 만, 운반용기의 변형이나 손상을 야기할 정도로 너무 단단하게 (over-tighted) 조이지 말아야 한다. 운반용기의 움직임은 고정장치 (틈메움 및 버팀목, blocking and bracing) 또는 에어쿠션(Air Cushion), 파 렛트(Pallet)와 같은 완충제(Shock-Absorbing and Filler Material)를 사용, 빈 공간을 채워 방지한다.
2. 운반용기가 겹칩적재용으로 설계되지 않은 이상 겹침 적재하지 말 아야 한다. 겹침적재용으로 설계되었으나 서로 다른 설계형식의 운반용기가 함께 적재되는 경우에, 상호간 겹침적재에 대한 호환성 (compatibility)을 고려한다. 필요한 경우, 겹침적재된 운반용기는 하 중지지장치(load-bearing devices)를 사용하여 하단에 적재된 화물포 장의 손상을 예방하여야 한다.

3. 차량 적재시 운반용기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운반용기 를 끌거나(dragging), 취급부주의(mishandling)로 인한 우발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방법 및 차량형태, 운반 준비 과정에서의 운반 용기의 취급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위험물이 배출될 수 있는 손상이나 누출이 발생한 운반용기는 운반을 하여서는 안 된다. 운 반용기에 위험물이 누출되는 손상이 발견된다면, 손상된 운반용기 는 운반하지 말고, 위험물 및 내재된 위험성을 잘 인지하고 있는 주무관청에 신고하거나 책임자의 관리감독에 따라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한다.
4. 운반용기는 주입구를 위로 향하도록 세워서(upright position) 적재하 여야 한다.

5. 액체위험물 운반용기는 가능한 한 고체위험물 운반용기의 하단에 적재하여야 한다.

Ⅲ. 위험물 운반용기 고정방법
1. 차량 적재의 요구조건
가. 차량 구조물(Vehicle Structure)
: 적재된 화물의 하중 및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역할을 함
예) 차량바닥, 벽면, 끈 고정고리, 칸막이, 고정기둥 등
나. 결박 장치(Securing Devices)
: 적재된 화물이 차량에 고정되도록 결박하는 역할을 함
예) 합성수지끈, 체인, 강철끈, 걸쇠, 쇠고리, 윈치, 말뚝구멍, 마찰매트 등
다. 고정 장치(Blocking and Bracing Equipment)
: 적재된 화물의 빈 공간을 메워 파손, 흔들림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
예) 목재, 합성수지, 금속 등

2. 결박장치(Securing Devices) : 래싱*(Lashing, 끈으로 결박하기)
1) 형 태(Type)

2) 방법(Method)
운반용기는 용기의 종류나 결박 필요성에 따라 상부 결박(top-over Lashing), 고리 결박(loop Lashing), 직접 결박(Straight Lashing), 탄력 결박 (Spring Lashing)등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구조물에 고정한다.


3. 고정장치(Blocking and Bracing Equipment)
1) 형태(Type) 및 방법(Method)
위험물 운반용기 결박작업 시 어떤 방향으로든 용기가 미끄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이 발생하지 않도록 틈메움 방법 등으로 빈 공간을 채 워야 한다.



4. 모서리 지지대(Supporting Edge)
1) 형태(Type)

2) 방법(Method)

5. 위험물 운반용기에 따른 적재방법
가. 중형산적용기 (IBC, Intermediate Bulk Container)
1) IBC 용기의 최대 용량은 3,000리터까지이다. IBC 용기는 차량바닥 (Vehicle Load Bed)에 두 개의 라쳇 끈(Ratchet straps)에 의하여 고정한다.
2) 유연성 산적용기(Flexible IBC)는 도로운반을 위하여 겹침적재 하지 말아야 하고, 또한 겹침적재용으로 설계되지 아니한 중형산적용기 (IBC)도 겹침적재 하지 말아야 한다.
3) 차량에 적재할 때에는 IBC 용기의 주입구는 누출을 고려하여 2차 차단이 가능한 면에 접하도록 하여야 한다. 고체(Powdered Materials)를 저장하는 유연 중형산적용기(Flexible IBC)는 용기 내부로 종종 공기가 혼입되거나 가루가 움직여 고정된 끈이 느슨해 질 수 있으므로 운반 중 또는 정차 후 출발 전에 다시 확인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나. 드 럼 (Drum)
1) 드럼은 고체(Powders)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철제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 진다. 직립 형태로 세워서 운반한다.
2) 드럼 고정 방법
가) 드럼은 철제 파렛트(pallet), 플라스틱 끈(Heavy duty plastic banding), 비닐 랩 포장(shrink or strech-wrapping : 플라스틱 피막으로 포장하는 것), 최소 두 개의 끈으로 차량바닥과 고정된 화물 파렛트 등으로 결박한다.
나) 만약 드럼이 파렛트 위에 결박이 되지 않는다면 드럼 간 돌려감기 결박 방법(Round Turn lashing)을 이용하여 결박하며, 모아져서 포장된 드럼들은 최소 두 개의 끈으로 차량의 바닥과 결박하여야 한다.
다. 소형 용기 (Small Packs)
1) 개별 용기의 용량은 5리터에서 60리터이며 직립 형태로 세워서 운반 하여야 한다.
2) 소형 용기 고정 방법
가) 안정적인 화물조작단위(The load Handling unit)로 고정되어야 한다. 나) 운반 중 움직이지 않도록 용기 상호간 고정하거나 파렛트에 얹고 화물조작단위를 차량에 고정한다.
다) 소형 용기와 다른 고정대(the handles) 또는 용기묶음은 끈으로 고정하 거나(Strapping이나 wiring), 파렛트 위에 얹고 용기 상호간 비닐 랩 포 장하여 파렛트와 결박한다.
3) 적재되는 모든 소형용기는 상부와 하부가 상호 맞물리거나 파렛트에 적합하게 결박된 상태로 이중-적재(double-stacked)한다. 이중-적재 이후 용기 파렛트는 최소 두 개 이상의 적합한 끈(Strap)으로 차량바닥과 결 박한다. 각각의 소형용기는 차량 바닥, 차량 화물칸 앞판(headboard)에 고정하거나 화물을 고정하기 적합한 기구를 이용하여 결박한다.
라. 이중 용기 (Combination packs)
1) 이중 용기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내장용기가 외장용기에 고정되어 진 상태로 구성된다. 내장용기의 재료나 구성은 다양하나 전형적으로 금속, 플라스틱, 섬유판(fiberboard) 또는 유리로 구성된다. 외장 용기은 일반적으로 섬유판,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상자 또는 케이지 (cage)이며 내장용기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2) 이중 용기의 고정 방법
가) 안정적인 화물조작단위(The load Handling unit)로 고정되어야 한다. 나) 파렛트에 얹고 용기 상호간 비닐 랩으로 포장하여 파렛트와 결박 하고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로프나 끈으로 사용하여 차량의 바닥에 화물조작단위로 결박한다.
마. 포대 (bagged material)
1) 고체(Powder Material)을 담기 위하여 종이 또는 플라스틱 마대가 일반적이다.
2) 포대의 고정 방법
가) 포대는 항상 파렛트에 얹고 시트(sheet)나 비닐포장 랩으로 파렛트에 결박한다. 또한 차량이 개방상태로 운반할 경우 비닐 포장 랩만으로는 방수 역할로 적합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시트를 덮어 보호한다. 파렛트는 로프, 끈 또는 화물 그물(cargo net)을 사용하여 차량 화물칸 바닥(vehicle load bed)에 적절하게 결박한다.
나) 파렛트 위에 포대를 놓고 포장한 단일 화물은 최소 2개의 로프나 끈으로 적절하게 결박한다.
다) 파렛트가 이중-적재되었을 때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최소 2개의 로프나 끈으로 적절하게 고정하고 추가적으로 운반 중 움직이지 않 도록 그물, 로프 또는 끈으로 결박한다. 포대는 종종 공기가 혼입 (air-entrained)되거나 포대를 끈으로 고정하더라도 운반 중에 느슨해 지므로 운반 중 다시 체크하여야 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바. 시약 (샘플, Sample)
택배 차량이나 자가용으로 운반되는 시약(샘플)은 샘플 구성물이 이탈하 여 돌아다닐 위험이 있으므로 용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드 록 보관하거나 적절하게 결박한다.
Ⅳ. 위험물 운반용기 적재 및 고정 시 체크리스트
□ 위험물 운반용기 적재·고정에 대한 안전 체크리스트
○안전하고 합법적으로 !
위험물 운반용기의 올바른 적재·고정과 도로교통, 도로안전, 근로자 보호와 관련된 기준 및 법적 요건을 준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위험물 운반용기 적재 전 단계, 적재 및 고정/결박 단계, 운반단계 별로 구분한 체 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위험물 운반에서 안전성을 확보한다.
○위험물 운반용기 적재 전(前) 단계

○위험물 운반용기 적재 및 고정 / 결박 단계

○운반 단계



'안전보건자료 > 안전보건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 및 설비의 통로설치안전 (0) | 2022.07.14 |
---|---|
밀폐공간 안전보건규칙 조항별 확인·착안사항 (0) | 2022.03.31 |
물류시설 내 지게차 안전관리 지침서 (0) | 2022.03.31 |
소화설비 작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질식재해 예방 안전작업 매뉴얼 (0) | 2022.03.31 |
유해화학물질 취급 현장 우수사례 (0) | 2022.03.30 |
댓글